![]() |
ㆍ2021년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ㆍ2021년 ‘근현대 한국 주변부 여성의 경제활동’ 연구용역 |
![]() |
ㆍ2020년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ㆍ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용역 ㆍ정조대왕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신청을 위한 가치조사 연구용역 ㆍ2020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사업 ㆍ2020년 ‘근현대 한국 주변부 여성의 경제활동’ 연구용역 ㆍ고창군 근현대 자료수집 및 기록 연구용역 ㆍ광주대단지 시기 건축 산성동 재개발지역 아카이브 조사 용역 ㆍ변산반도국립공원 해양문화 및 민속자원 조사 ㆍ완주 근현대 자료수집 및 기록화용역Ⅲ ㆍ2020 전주미래유산 시민참여프로그램 |
![]() |
ㆍ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ㆍ인류무형문화유산 국고보조사업 모니터링 ㆍ2019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ㆍ술박물관 운영내실화를 위한 연구 ㆍ매사냥 연구 및 기록 용역 ㆍ2019년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 사업 ‘통영 오귀새남굿’ ㆍ2019년 미래유산 시민참여프로그램 ㆍ고성군 문화예술 지원 방향 재론 ㆍ2019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ㆍ‘근현대 한국 주변부 여성의 경제활동’ 연구용역 ㆍ완주군 근·현대 자료수집 및 기록 연구용역Ⅱ ㆍ전통문화 성춘향 디지털 아트체험관 청출어람 프로젝트 |
![]() |
ㆍ성남 제1공단 역사기록화 조사 용역 ㆍ2018 세계무형유산포럼 ㆍ인류무형문화유산 국고보조사업 모니터링 ㆍ‘서당문화’ 현황과 가치 조사 및 활용 방안 연구용역 ㆍ전주미래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존과 활용 방안 ㆍ완주군 근현대 자료 수집 및 기록화 사업Ⅰ |
![]() |
ㆍ2017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사업 ㆍ국가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기록화사업 ㆍ‘김장 문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가치 조사 연구 용역 ㆍ근·현대문화유산 놀이문화 분야 목록화 조사 연구용역 ㆍ전주 미래유산 전문가 조사 ㆍ「2017 올해의 무형유산도시, 전주」무형유산 목록화 ㆍ2017 세계무형유산포럼 ㆍ2017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고보조사업 모니터링 ㆍ문화재 지정승격 추진용역(고창 오거리당산제 보존회) ㆍVR기반 무형문화재조사 사업 ㆍ전통지식 전문 학술 자료 관리시스템 공동 개발 |
![]() |
ㆍ2016 제다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념 학술대회
|
![]() |
ㆍ전라북도 지역 민간요법 발굴 조사연구 ㆍ전주시 무형문화유산 활성화 방안 연구 ㆍ문화재청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사업 ㆍ한국콘텐츠진흥원 지역 스토리랩 프로그램 운영지원 사업 |
![]() |
ㆍ정읍시<화호리 근대문화유산지구 보전 및 활용> 연구사업활용>연구사업 ㆍ국립무형유산권국립무형유산원<지역 무형유산 조사 및 목록화 연구> ㆍ국립 무형 유산원<무형유산지기> 활동국립무형유산원<무형유산지기>활동 지원 사업 |
![]() |
ㆍ무형문화유산 지정 및 전승자 인정 조사지침 마련 연구사업 ㆍ'민속문화의 해' 민속 총서 발간사업 ㆍ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원 선정 (무형문화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과 IT융합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 |
![]() |
ㆍ문화재청 무형문화유산 하위분류 및 지정ㆍ인정기준 마련 조사
|
![]() |
ㆍ전주시 한옥마을 선비의 길 이야기스토리텔링 개발 컨설팅 사업 ㆍ이즈모야의 역사 복원 프로젝트 |
![]() |
ㆍ과거사위원회 한국전쟁 피해자 현황 조사사업 ㆍ해외 입양인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 시작 |
![]() |
ㆍ과거사위원회 한국전쟁 피해자 현황 조사사업 ㆍ해외 입양인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 시작 |
![]() |
ㆍ20세기 민중생활사 연구사업 종료
|
![]() |
ㆍ20세기 민중생활사 연구 시작 ㆍ자료 전산화디지털 아카이브 개발 시작 및 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