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연구원 뉴스레터 통권 48호
무형문화연구원
뉴스레터 통권 48호
뉴스레터 통권 48호
Center for Intangible Culture Studies (CICS)
7~8월 장마가 물러가고 더위도 막바지에 놓여있습니다. 무형문화연구원은 현지조사가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완주군 근현대 자료 수집 및 기록 연구’ 사업을 성실하게 수행하였고, 무형문화 연구자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시작되었던 COVID-19는 팬데믹 상태로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고, 무형문화유산 전승자는 그 어느 때보다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무형문화유산 공개 현장에서도 각종 공연과 시연을 언택트(비대면) 행사로 전환해야 할 시점입니다.
무형문화유산 관련 전승자•연구자•기관 등이 합심하여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합니다.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의 합리적 지성을 일깨우며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새로운 차원의 무형문화유산 전승을 고민할 때입니다.
무형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윤동환
윤동환
연구원 활동
■ 2020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코로나로 인해 잠시 주춤했던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가 5월부터 재개되었습니다. 공개행사를 하더라고 비대면 행사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각 공개행사장에서는 문화재청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배포한 방역수칙을 준수하도록 했습니다. 비대면 행사에 대한 대책으로는 공개행사 영상을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더보기)
■ 구술자료 아카이브즈 구축사업
무형문화연구원은 2019년 7월부터 2020년 5월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주한 ‘구술자료 아카이브즈 구축사업’의 1차년도 사업 진행을 마무리하였습니다.
‘구술자료 아카이브즈 구축 사업’은 근현대 한국 주변부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구술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기존 한국 근현대사 연구 성과물은 남성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어 여성의 경제 활동이 상대적으로 누락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과 사회를 넘나들며 활동했던 여성들의 경제 활동에 관한 구술 자료를 수집하고, 물품·사진·영상 등을 아카이브로 구축해 누락된 여성의 주체적인 활동들을 기록해 보완하고자 했습니다. (더보기)
‘구술자료 아카이브즈 구축 사업’은 근현대 한국 주변부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구술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기존 한국 근현대사 연구 성과물은 남성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어 여성의 경제 활동이 상대적으로 누락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과 사회를 넘나들며 활동했던 여성들의 경제 활동에 관한 구술 자료를 수집하고, 물품·사진·영상 등을 아카이브로 구축해 누락된 여성의 주체적인 활동들을 기록해 보완하고자 했습니다. (더보기)

■ 완주군 근현대 자료 수집 및 기록 연구용역 Ⅱ 완료
무형문화연구원은 지난 2019년 12월 20일부터 2020년 5월 17일까지 완주군 근현대 생활문화 조사를 위하여 2차 조사 대상지인 용진읍의 40개 마을, 봉동읍의 82개 마을, 삼례읍의 66개 마을, 이서면의 61개 마을 총 249개 마을에 대한 전수조사를 다섯 개 팀으로 구성하여 동시에 실시·완료하였습니다.
(더보기)

■ 세계 무형문화유산 엔지오(NGO)들의 네트워크, ICHNGO.NET 업데이트
ICHNGO.NET는 ICH UNESCO NGO 포럼(forum)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모든 무형문화유산 엔지오들의 네트워킹 웹사이트입니다.
2017년 태동시점부터 현재까지 지나온 발자취를 소개합니다. 무형문화유산 엔지오들의 소통의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2017년 12월 제주도에서 열린 제12차 정부간위원회 때 무형문화연구원(CICS)의 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순철 교수가 개발 의지를 밝힌 바 있었습니다.
그래서 2018년 6월 파리에서 열린 제7차 유네스코 총회 때 ICH Event Board 사이트를 발표하였고 2018년 11월 모리셔스에서 열린 제13차 정부간위원회 때 유네스코 ICH NGO Forum의 또 다른 공식 웹사이트로 인정받아 ICH NGO Network로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더보기)

■ 2020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무형문화연구원은 2020년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은 무형문화유산 전승, 보호 및 확산에 노력해온 보유자/단체/공동체/활동가/연구자/기타 전문가 등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시상식을 개최하여 타의 모범이 되는 수상자의 공적을 기리고, 수상을 치하합니다.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은 무형문화유산 관련 세계 유일의 상으로, 전주 정신을 세계만방에 알리고자 합니다.
(더보기)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학술총서 3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학술적 토대 연구』(2020년 2월)
한국 전통문화의 상징과 정체성 그리고 변화에 대한 서술, 분석, 해석, 그리고 제언과 미래방향에 대한 예측 등이 이 총서 내용의 골자입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학술작업을 토대로 무형문화유산 연구가 심층 단계로 돌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전통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만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발전할 수 있고, 학술적 토대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무형유산정보연구소 학술총서 3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학술적 토대 연구』는 2020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더보기)

■ 무형유산정보연구소 선비문화유산을 찾아서 3
연구소 선비문화유산을 찾아서 총서는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2012년 05월)와 『서도에서 길을 찾다』(2013년 11월)에 이어 지속적으로 간행하고 있습니다. 『한말의 시회 운남사 이야기』는 일제강점기 매천 황현과 고암 황병중의 제자들이 모인 시계 운남사와 관련된 글입니다.
(더보기)

■ 정조대왕(화성) 능행차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조사
정조대왕 능행차에 대한 학술,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정조대왕 능행차의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제고하고, 바람직한 전승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원은 정조대왕 능행차의 전승환경, 전승현황, 전승가치 등을 조사·연구하고, 정조대왕 능행차의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현재 전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할 것입니다.
(더보기)

■ 변산반도국립공원 해양문화, 민속자원 조사
변산반도국립공원 연안·내륙의 전통지식, 민속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전통지식 및 민속자원의 체계적인 보호와 활용을 위한 목록화 및 기록화 연구를 실시합니다. 이를 통해 국립공원 내 전통지식, 민속자원의 전승 및 보전을 위한 정책방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더보기)
■ 무형유산학 5권 1호 발행(2020년 4월)
『무형유산학』은 무형문화유산 연구와 관련된 학제 간 학술 연구와 회원 상호간의 지적 교류를 촉진하며, 무형문화유산 연구의 학술적 수준을 높여 국내외 관련 분야에 기여하기 위하여 무형유산학회(Intangible Heritage Association)에서 발간한 학회지입니다. 『무형유산학』 5권 1호에는 총 11편이 투고되었으나, 7편이 게재되었습니다.
(더보기)

■ 2020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온라인 시상식
2020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시상식은 YouTube를 통해서 9월 18일 오후 8시 30분, 전 세계로 방영됩니다. 무형문화유산 전승자를 포함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증진에 노력해 온 수상자의 노고와 불굴의 정신을 치하하고, 응원하는데 동참해 주시기를 기대합니다.
(더보기)

회원 동정
● 그동안 무형유산정보연구소에서 근무했던 이정훈 연구교수가 8월에 근무를 종료합니다.
이정훈 교수는 2013년에 늦깍이 박사가 되어 우연찮은 기회로 들어와서 2020년까지 설화전공자로서
무형유산의 영역을 접목시키려고 했던 모든 시도가 학문의 지평을 넓히는 작업이었었다고 전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무형유산정보연구소의 무한한 학운을 빌며 감사함을 전하였습니다.
어느 영역에서든 무형유산정보연구소에서 했던 학제간의 소통이 큰 자산으로 남을 것이라 여깁니다.
● 2019년부터 근무했던 김정훈 행정조교도 7월 7일자로 업무를 마쳤습니다.
"안팎으로 살림을 성실하게 관리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계획하는 모든 일에 성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 2020년 9월 30일까지 미얀마 ODA사업에 김태현 연구원이 참여하여 근무합니다.
● 2020년 8월 5일부터 임상은, 김진주 행정조교가 근무를 시작합니다.
이정훈 교수는 2013년에 늦깍이 박사가 되어 우연찮은 기회로 들어와서 2020년까지 설화전공자로서
무형유산의 영역을 접목시키려고 했던 모든 시도가 학문의 지평을 넓히는 작업이었었다고 전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무형유산정보연구소의 무한한 학운을 빌며 감사함을 전하였습니다.
어느 영역에서든 무형유산정보연구소에서 했던 학제간의 소통이 큰 자산으로 남을 것이라 여깁니다.
● 2019년부터 근무했던 김정훈 행정조교도 7월 7일자로 업무를 마쳤습니다.
"안팎으로 살림을 성실하게 관리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계획하는 모든 일에 성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 2020년 9월 30일까지 미얀마 ODA사업에 김태현 연구원이 참여하여 근무합니다.
● 2020년 8월 5일부터 임상은, 김진주 행정조교가 근무를 시작합니다.
뉴스레터 제작팀
기획과 편집 : 김진주 (kxxzzu@naver.com), 임상은(gracia0220@hanmail.net)
제작과 발송 : 김요환 (radline000@gmail.com)
제작과 발송 : 김요환 (radline0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