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뉴스레터 통권 41호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뉴스레터 통권 41호
뉴스레터 통권 41호
Center for Intangible Culture Studies (CICS) ,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지난해, 2017년, 우리 연구원으로서는 중요한 도전과 좌절이 있었고 그것을 헤쳐나가야 하는 아픔이 있었습니다. 시간은 야무지게 그 아픔을 덮어주고, 그 덕에 새로운 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연구가 16년을 지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동안 많은 데이터를 모았고 그 데이터를 통해서 여러 가지 분석자료를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WEF)에서 언급된 4차 산업혁명의 지능적 사회 기반은 데이터(정보)와 네트워크가 중심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갖추고 있는 인프라의 모습과 동일합니다. 또 이것은 우리의 역할이 지금 도래하고 있는 새 시대에 꼭 필요하다는 증거입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은 중요하고, 아름답습니다. 이 찬란한 봄날에, 열심히 일하고 있는 연구원을 위하여 모두 파이팅합시다!
무형문화연구소
박순철
박순철
연구소 활동
국내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회 워크숍
유네스코 인가 NGO협의회(UNESCO Accredited NGO Association, Korea : UANAK)가 주최하는 제3차 국내 유네스코 인가 NGO협의회 워크숍이 사)세계무술연맹 주관으로 2018년 2월 22일 충북 충주시청 중앙탑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유네스코 인가 NGO협의회는 세계무술연맹(WoMAU, 충주), 무형문화연구원(CICS, 전주), 국제무형문화도시연합(ICCN, 강릉), 세계탈문화예술연맹(IMACO, 안동), 한국문화재재단(KCHF, 서울) 5개 단체입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ICH NGO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기술적 방안'에 대해서 사)무형문화연구원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전 세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정보 공유 플랫폼의 중요성과 지역 간 정보공유 및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습니다. 앞으로도 무형문화유산 NGO 협의회의 다양하고 활발한 활동을 통해 정부 및 시민사회 그리고 문화유산 공동체가 더불어 발전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성남 제1공단 기록화 사업 조사과정 보고: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
무형문화연구원은 2018년 1월 ⌜성남 제1공단 -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 기록화 사업⌟을 착수하였습니다. 이 사업의 취지는 성남시 도시개발의 역사적 장소인 제1공단(1974~2004)이 공원화됨에 따라, 제1공단에 유일하게 남은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을 조사하여 사라지는 공단에 대한 기록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데 있습니다.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은 건물 내 다양한 산업자료와 기록물이 남아있으나 공원조성계획에 따라 당해 연초 2월에 철거가 예정되어 무형문화연구원은 1월이 되자마자 서둘러 유물조사를 시작하였습니다. 무형문화연구원은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의 기록화를 위하여 유물조사팀, 구술채록팀, 아카이브즈팀으로 조직을 구성하였습니다. 그 중 유물조사팀은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 답사 및 현공장근로자의 인터뷰를 2회(2017년 12월 27일, 2018년 1월 4일), 본격적인 유물조사를 10회에 걸쳐 진행하였습니다. 유물 선별 기준은 8가지로 분류하여 총 3,594건(재료 72건, 기계 179건, 제품 193건, 부품 100건, 도구 97건, 사무용품 258건, 홍보물 156건, 문서 2,539건)의 유물을 수집하였습니다.
○ 과 업 명: 성남 제1공단 역사 기록화 조사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
○ 과업 기간: 2018년 1월 ~ 2018년 12월
○ 발 주 처: 한국빠이롯트만년필㈜
○ 위탁사업자: (사)무형문화연구원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 과 업 명: 성남 제1공단 역사 기록화 조사 (한국빠이롯트만년필공장)
○ 과업 기간: 2018년 1월 ~ 2018년 12월
○ 발 주 처: 한국빠이롯트만년필㈜
○ 위탁사업자: (사)무형문화연구원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2017 전북대학교 LINC+ 산학협력 페스티벌 및 연구과제 성과보고회
2017년 12월 26일에 전북대학교 LINC+가 주최하는 산학협력 페스티벌이 열려 캡스톤디자인 결과 발표회 및 시제품 성과 전시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날 무형문화연구소 융합팀은 '길 따라 선비 따라'라는 전주 한옥 마을 선비길 관광 정보 제공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참가하였으며 캡스톤디자인 시상에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1월 16일에 전북대학교 LINC+ 산학공동연구과제 성과보고회가 열렸습니다. 무형문화연구소 IT 연구팀은 2017년 7월 1일 ~ 2017년 12월 31일까지 "전통문화 지능형 플랫폼을 위한 이치피디아 메타 엔진 구축과 활용"이라는 주제로 연구과제를 진행하였으며 이날 산학공동 우수과제 시상에 최우상과 우수 연구노트 시상에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2017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고보조사업 모니터링 최종보고회
2018년 1월 23일 화요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2017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고보조사업 모니터링』의 최종보고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종목(개인 또는 단체)이 국고보조금으로 공연, 교육, 연구, 국제교류 등의 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사업입니다. 최종보고회의는 사업추진 결과 및 사업의 현안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사업의 주요성과는 시범사업으로 실시된 유네스코 모니터링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평가지표를 고안하였다는 것입니다. 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평가지표 중 개선할 필요가 있는 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취합된 평가지표 개선사항은 2018년 모니터링 사업에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모니터링 사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고보조사업의 취지와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2017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최종보고회
2018년 1월 15일 월요일 한국문화재재단에서 『2017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모니터링 사업』의 최종보고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최종보고회의는 2017년 모니터링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로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무형문화연구원 관계자들이 참석하였습니다. 무형문화연구원은 사업의 실무 수행기관으로써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결과보고를 하였습니다. 내용은 1. 월별·종목별·지역별로 구분한 2017년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167명·보유단체66개를 모니터링한 현황 2. 158건의 분야별 점수 및 평점과 보유자 불참 및 활동현황 3. 사업의 개선방안(모니터링 사업의 문제점, 모니터링 인터뷰에서 제시된 애로점과 건의사항, 모니터링과 공개행사의 개선점과 활용방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지식 나눔터(자료실)
■ [저서] 이상경 생애사 / 기록 : 유재철 / 기획 : 무형문화연구소 / 출판사 : 민속원
무형문화연구소에서는 내삶, 나의 이야기라는 구술생애사 책을 연속해서 발간하고 있다. 구술생애사는 개인의 이야기 이면서도 우리 사회의 역사가 된다. 개인들의 작고 진실한 목소리가 모이면 도도히 흐르는 역사의 강이 될 것이다. 나, 한 사람의 삶이 있어야 우리의 역사가 일구어진다는 것은 진실이기 때문이다. 1934년 대구에서 태어난 이상경은 일제 강점기 어린시절을 만주 길림성과 대구를 오가며 보냈고, 195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이후 1962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에 유학하여 1988년에는 비교연극학 담당 교수로 임용된다. 현재는 빈 대학 명예교수이다. 그의 유년시절과 청년기에 느낀 감정과 경험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국과 한국 그리고 오스트리아로 이주하면서 살아온 지식인의 삶과 사유, 동시에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엿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 [저서] 하와이 사진신부, 천연희의 이야기 / 문옥표·이덕희·함한희·김점숙·김순주 / 출판사 : 일조각
이 책은 1915년 사진신부(picture bride)로 하와이로 간 천연희라는 인물이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기까지 작성한 <노트>를 바탕으로 몇 가지 작업을 하나의 책으로 묶은 것이다. 일차적으로는 역주가 달린 현대문 작업을 5명의 필자들이 오랜 시간 걸려서 완성했다. 독자들에게 천연희의 노트를 제대로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었다. 1년 이상 필자들은 면밀하게 본문과 대조하며, 해석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역주작업을 하면서 하와이사진신부를 통해서 당시의 정치, 사회, 가족 등의 주제를 가지고 논문을 써서 발표를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뉴스레터 제작팀
기획과 편집 : 정성미 (pyramid58@hanmail.net), 서순례 (tj3261@gmail.com), 김호림 (caliks@hanmail.net)
제작과 발송 : 김찬희 (chankch@hanmail.net)
제작과 발송 : 김찬희 (chankch@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