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뉴스레터 통권 35호
Center for Intangible Culture Studies (CICS) , Chonbuk National University
가을 정취가 흠뻑 묻어나는 11월입니다. 의지와 희망이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를 되새겨 보는 때입니다. 수북한 낙엽길처럼 한 해 동안 진행해왔던 다양한 연구와 과업의 성과들이 쌓여 있습니다. 구술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지식도 꿰어야 보배가 됩니다. 무형문화유산 지식은 특히 시간과 경험을 함께 나누어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소에서는 많은 학술적인 행사를 기획, 공동주관, 운영했습니다. 2016년 아태지역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2016년 무형유산학회 추계학술대회-무형유산 공동체의 개념과 실상, 네 차례의 무형문화유산 연속강좌가 - 임돈희(동국대 명예교수): 왜 세계는 무형유산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 히엔 누엔(베트남 국립문화예술 연구소): 베트남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현황, 김신효(안동대학교), 이균옥(안동대학교): 동해안 별신굿의 전승양상, 곽숙운(중국 대련대학): 만주 샤머니즘 - 그것입니다. 이러한 소통으로 무형문화유산은 철학과 구조가 결합된 영역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ISTIC 2016 국제학술대회와 마조국제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수상하신 여러 선생님과 연구원분들에게 축하의 말씀을 올립니다. 올 해를 잘 마무리 짓기 위해 다양한 학술대회, 포럼, 성과교류회들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무형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풍성한 학문적 잔치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무형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정성미
연구교수 정성미
연구소 활동
2016 아태지역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지난 11월 3일부터 5일까지 무형유산 보호를 통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달성 이란 주제로 2016 아태지역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가 있었습니다. 컨퍼런스는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가 주최와 주관을 하였고 공동주관으로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전주문화재단, 전주시 사회적경제·도시재생지원센터, 한국전통문화전당이 함께 하였습니다. 이외 전주시와 문화재청이 본 컨퍼런스를 후원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NGO 컨퍼런스 요약본)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NGO 컨퍼런스 요약본)

<학술대회 참관기> 2016년 제 2회 마조학술대회①
중국여행에서는 이동시간도 여행이 된다. 전주에서 인천으로, 인천에서 상해로 가면서 하루를 보냈다. 상해의 공기를 맑게 해주는 전기오토바이~ 후발주자가 된다는 것은 첨단기술과 오래된 전통이 공존하다는 의미인지도 모르겠다. 여행의 첫 날 봤던, 전기 오토바이의 상용화와 여행 마지막에 탔던 자부(磁浮)는 그것의 반증이다. 시속 470km로 30킬러미터를 7-8분에 주파한다는 자기부상열차. 이런 혼융의 풍경이 인상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연속강좌> “왜 세계는 무형문화유산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임돈희, 동국대학교)
2016년 10월 24일, 인문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2호관 307호에서 공개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이야기를 드는 자리를 마련하였고, 동국대학교 석좌교수인 임돈희 교수님의 유익한 강연이 이루어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jpg)
연속 시리즈
■ 조선왕과의 만남 - 예종릉
제8대 예종 1450~1469 (20세) / 재위 1468.09 (19세)~1469.11 (20세) 1년 2개월
창릉(昌陵) 사적 제198호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6 (서오릉 내)
조선 초기 어린 단종으로 인해 풍전등화로 실추되는 왕권을 되살리고 부국강병을 재건하고자 했던 세조는 많은 업적을 쌓고 국가기반을 반석위에 올리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하지만 그는 자식의 박복함을 통탄하며 자신의 업보에 고뇌하였다. 아비에 과보의 대가로 요절한 자식의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 최고의 명당을 직접 택한 곳이 서오릉이다. 서오릉은 야트막한 효경산(孝敬山) 자락에 위치해 있었다. 예종의 형인 덕종 경릉이 서오릉 중심에 명당의 뿌리를 내리고 있고 左終側(서북쪽) 기슭에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창릉이 동원이강을 이루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제8대 예종 1450~1469 (20세) / 재위 1468.09 (19세)~1469.11 (20세) 1년 2개월
창릉(昌陵) 사적 제198호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6 (서오릉 내)
조선 초기 어린 단종으로 인해 풍전등화로 실추되는 왕권을 되살리고 부국강병을 재건하고자 했던 세조는 많은 업적을 쌓고 국가기반을 반석위에 올리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하지만 그는 자식의 박복함을 통탄하며 자신의 업보에 고뇌하였다. 아비에 과보의 대가로 요절한 자식의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 최고의 명당을 직접 택한 곳이 서오릉이다. 서오릉은 야트막한 효경산(孝敬山) 자락에 위치해 있었다. 예종의 형인 덕종 경릉이 서오릉 중심에 명당의 뿌리를 내리고 있고 左終側(서북쪽) 기슭에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창릉이 동원이강을 이루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국가지정무형유산 모니터링 현장
11월 소식
□ 사단법인 무형문화연구원 개원식
2016년 상반기부터 더욱 폭넓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준비한 사단법인 무형문화연구원이 2016년 11월 10일 저녁 5시에 개소식을 합니다. 사단법인 무형문화연구원은 향후 무형문화유산, 생활사 등 조사연구 및 아카이브 구축, 무형문화유산 관련 자료 수집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활동할 예정입니다.
2016년 상반기부터 더욱 폭넓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준비한 사단법인 무형문화연구원이 2016년 11월 10일 저녁 5시에 개소식을 합니다. 사단법인 무형문화연구원은 향후 무형문화유산, 생활사 등 조사연구 및 아카이브 구축, 무형문화유산 관련 자료 수집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활동할 예정입니다.
□ 2016년 IRCI 전문가 회의
주관 기관: 아시아태평양 유네스코 일본 C2센터 (무형문화유산 연구센터)
11월 18-1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립니다.
참여국가는 11개국이고, 무형유산연구 현황에 대한 발표와 분석을 하는 자리입니다.
함한희교수가 11개국의 무형유산 연구실태 분석 commentator로 초청을 받았습니다.
주관 기관: 아시아태평양 유네스코 일본 C2센터 (무형문화유산 연구센터)
11월 18-1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립니다.
참여국가는 11개국이고, 무형유산연구 현황에 대한 발표와 분석을 하는 자리입니다.
함한희교수가 11개국의 무형유산 연구실태 분석 commentator로 초청을 받았습니다.
□ 무형유산학회 2016 추계학술대회
기획주제: 무형유산 공동체의 개념과 실상
1. 일시: 2016년 11월 12일(토) 09:40~18:00
2. 장소: 동국대학교 문화관 1층 덕암세미나실(1,3,5세션), 2층 201호(2,4,6세션)
3. 주최: 무형유산학회
4. 주관: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동국대 역사문화연구소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기획주제: 무형유산 공동체의 개념과 실상
1. 일시: 2016년 11월 12일(토) 09:40~18:00
2. 장소: 동국대학교 문화관 1층 덕암세미나실(1,3,5세션), 2층 201호(2,4,6세션)
3. 주최: 무형유산학회
4. 주관: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동국대 역사문화연구소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 2016년 미래융합포럼 참석
일 시 : ‘16.11.15(화)~16(수) 14:00~16:30
장소/규모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디자인나눔관(3F, 최대 150명)
주 제 : 과학기술을 통한 전통문화의 미래 도약
참석 대상 : 전통문화, 문화예술, 과학기술, 장인 등 전문가, 일반국민 등
주 최 : 미래창조과학부·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전통르네상스지원단·융합연구정책센터(KIST)
2016 미래융합포럼은 전통문화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과학기술을 통한 전통문화의 미래 도약 선언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 발대식 및 미래부·문체부 공동 협력 역할 강조하는 포럼으로 이 자리에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도 참석합니다.
본 포럼은 강연, 성과사례, 발대식, 성과전시로 구성 진행되고 저희 연구소장이신 함한희교수의 기조강연을 포함하여 성과전시 파트에서는 연구소의 게시물도 전시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 시 : ‘16.11.15(화)~16(수) 14:00~16:30
장소/규모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디자인나눔관(3F, 최대 150명)
주 제 : 과학기술을 통한 전통문화의 미래 도약
참석 대상 : 전통문화, 문화예술, 과학기술, 장인 등 전문가, 일반국민 등
주 최 : 미래창조과학부·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전통르네상스지원단·융합연구정책센터(KIST)
2016 미래융합포럼은 전통문화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과학기술을 통한 전통문화의 미래 도약 선언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 발대식 및 미래부·문체부 공동 협력 역할 강조하는 포럼으로 이 자리에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도 참석합니다.
본 포럼은 강연, 성과사례, 발대식, 성과전시로 구성 진행되고 저희 연구소장이신 함한희교수의 기조강연을 포함하여 성과전시 파트에서는 연구소의 게시물도 전시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중점연구소 성과교류회
행 사 명: 성과교류회 및 대토론회
개 최 일: 2016. 11. 24.(목)(11:00~18:00)
개최장소: aT센터(서울 양재동)
주최·주관: 교육부(주최), 한국연구재단(주관)
행 사 명: 성과교류회 및 대토론회
개 최 일: 2016. 11. 24.(목)(11:00~18:00)
개최장소: aT센터(서울 양재동)
주최·주관: 교육부(주최), 한국연구재단(주관)
12월 소식
□ 전라북도 전통놀이 역량강화 워크숍
개 최 일: 2016. 12월 7일(수요일)
개최장소: 전북대학교 진수당 바오로홀
주 최: 전라북도청
공동주관: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전북연구원
개 최 일: 2016. 12월 7일(수요일)
개최장소: 전북대학교 진수당 바오로홀
주 최: 전라북도청
공동주관: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전북연구원
□ 2016 제다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념 학술대회
개 최 일: 2016. 12월 9일(금요일)
개최장소: 국립무형유산원
주 최: 문화재청
주 관: 무형문화연구원
개 최 일: 2016. 12월 9일(금요일)
개최장소: 국립무형유산원
주 최: 문화재청
주 관: 무형문화연구원
회원 동정
★ 포전에서 개최된 제 2회 마조국제학술대회에서 이종주·함한희 교수가 우수논문상을 받으시고, 이정훈 • 당전 연구원은 우수 발표상을 받았습니다.★ ISTIC 2016 국제학술대회 - 논문 우수 발표상에 윤창남 연구원이 수상했습니다.
뉴스레터 제작팀
편집 : 이정훈 (lecture08@hanmail.net)제작과 발송 : 이지호 (jiho069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