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사업 현황
무형문화의 새로운 접근과 해석을 통한전통지식수집과 아카이브 구축 e-book 발간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에서는 '무형문화의 새로운 접근과 해석을 통한 전통지식수집과 아카이브 구축'이라는 사업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1차년도 사업에서 땅, 물, 산, 하늘, 동물과 식물, 신앙에 관한 자료를 세분화하여 자연ㆍ우주에 대한 전통지식을 수집하였다. 1차년도 사업 내용을 바탕으로 e-book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1∼6」 을 발간하였다.
![]() |
![]() |
![]() |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1」전북 함라마을의자연ㆍ우주 전통지식 |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2」정읍 입암산마을 사람들의자연ㆍ우주 전통지식 |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3」지리산 덕동마을 사람들의 자연ㆍ우주 전통지식 |
![]() |
![]() |
![]() |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4」전북의 종이 생산과 전통지식 |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5」전북 하전마을의자연ㆍ우주 전통지식 | 「한국의 전통지식 시리즈 6」전라북도 농촌마을의 김장하기 |
2012년무형문화유산온라인전수조사업 착수
2012년무형문화유산온라인전수조사업을 준비 중에 있다. 본 사업을 통해 유네스코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무형문화유산 국가목록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하고, 현장연구자가 결합하여 조사․관리하는 새로운 무형문화유산 관리체계 구축하고자 한다. 나아가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대국민지식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ㆍ사업기간 : 2012년 4월~11월(8개월)
ㆍ사 업 자 : 전북대학교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ㆍ발주기관 : 문화재청
행사 보고
역사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지방사와 지방문화의 재구성 방법: 기록과 구술의 이중주’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는 역사문화학회와 공동으로 2012년 역사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를 전북대에서 개최했다.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재구성 방법: 기록과 기술의 이중주”라는 주제 하에,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연구방법론을 구체화하고,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재구성 방법으로서 기록과 구술의 학술적 의미를 구축하고자 하며, 전통지식의 전승과 해석을 위한 기록과 구술 연구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다.
ㆍ주 최 : 역사문화학회ㆍ전북대학교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ㆍ일 시 : 2012년 4월 14일(토요일 오전 09:30-18:40)
ㆍ장 소 : 전북대학교 진수당 바오로홀 및 251호와 253호
![]() |
![]() |
2012년무형문화유산 온라인 전수조사사업 워크숍 개최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는 한국무형문화유산 국가목록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와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기초목록 수집조사 및 DB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2년은 서울, 경기도․인천, 강원도, 제주도 지역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 항목 10,000개 내외의 자료 추출 및 자료입력을 목표로 하고 있고, 사업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제 1회 워크숍을 2012년 4월 13일 금요일 오후 3시부터 전북대학교 인문대 1호관 교수회의실에서 개최했다.
ㆍ주 최 : 문화재청
ㆍ주 관 : 전북대학교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ㆍ일 시 : 2012년 4월 13일(금요일 오후 3시-6시)
ㆍ장 소 : 전북대학교 인문1호관 2층 교수회의실
![]() |
![]() |
2012년 제1차 구술사연구기관 네트워크 공동간사 회의
ㆍ일 시 : 2012년 4월 6일 금요일 14:00
ㆍ장 소 : 민주화운동기년사업회
ㆍ참석기관 : 국사편찬위원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주의사회연구소, 한국구술사학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중생활사연구소 - 회의내용 - 1. 공동 목록집 발간 건 2000년대 이후 구술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 자료화한 기관을 중심으로 1차 목록집을 만드는 것을 제안하고자 함.(※ e-mail로 자발적으로 목록작성을 진행할 의지가 있는 기관, 단체 추가) 2. 10월 중 구술사네트워크 행사 개최 예정 장소: 전북대 시기: 10월 중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중생활사연구소 - 회의내용 - 1. 공동 목록집 발간 건 2000년대 이후 구술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 자료화한 기관을 중심으로 1차 목록집을 만드는 것을 제안하고자 함.(※ e-mail로 자발적으로 목록작성을 진행할 의지가 있는 기관, 단체 추가) 2. 10월 중 구술사네트워크 행사 개최 예정 장소: 전북대 시기: 10월 중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이사 및 확장 보고
2012년 4월 6일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공간을 확장하였다.
![]() |
![]() |
연구원 소식
논문 게재
박경용, “생애사적 맥락을 통해 본 전통지식으로서의 민간요법 - 단절과 변화, 지속의 메커니즘”, 『역사민속학』 제38호(2012년 3월 31일)
문예은,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의 경쟁 양상 분석”,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4권 2호(2011년)
문예은, 이창환 공저, “새만금개발사업으로 인한 마을 공동체의 갈등분석-부안군 계화리를 종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20권 제1호(2012년 3월 31일)
함한희, 정명훈, 이동창 공저, “새만금 지역의 바다생태계와 어로작업의 상관관계 연구”, ECO 15-2호
최임천, 쏭웨이, 박순철 공저, “개체 구조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문서 클러스터링 성능 비교”,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2011년 9월)
이정송, 박순철 공저,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문서 클러스터링”,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게재 확정
학회 발표 (2012 역사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 : 구술을 통한 지역문화 접근 방법의 모색 -안성 남사당바우덕이축제를 중심으로-발표자 : 정형호
주제 : 거문고 제작과정을 통해 본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양상과 변화에 대한 고찰발표자 : 정성미
주제 : 어업과 연관된 어촌마을의 전통지식과 변화양상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마을 중심으로-발표자 : 정명훈
주제 : 전통 붓 장인을 통해 본 무형문화의 전승과 변화발표자 : 조성실
주제 : 한국 무형문화 유산 온라인 전통지식사전 구조 및 문제점발표자 : 전홍찬
주제 : 지방문화와 전통지식, 구술생애사발표자 : 박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