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소개
조직
연구원
연구현황
발자취
블로그
뉴스레터
ICH TV
Jeonju ICH AWARDS
ICHNGO
홈
|
소개
|
조직
|
연구원
|
연구현황
|
발자취
|
블로그
|
뉴스레터
|
공개행사일정
|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통역가이드 신청
보도자료
NEW
|
ICH TV
|
예능분야
기능분야
모두 보기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닫기
Translation ▼
한국어
English
中國語
日本語
español
русский
Translation
한국어
English
中國語
日本語
Idioma espanol
русский язык
이전
다음
게시판
|
Q&A
|
자료실
|
Ic
hForum
ICH Forum
축하합니다.
작성자 : Yong-Goo Kim
작성일 : March 23, 2017, 9:02 a.m.
축하합니다.
제목
작성자
2017년 무형유산학회 춘계학술대회 마무리중입니다.
Yong-Goo Kim
http://www.cics.center/ICH_TV/
[국회 정책토론회]
제12차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정부간위원회 대한민국(12/4~12/8 제주도 계획) 개최를 앞두고 국회에서 정책토론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무형유산의 보전과 활용에 관한 정책방향 점검과 세계화 과제를 확인하고, 무형유산의 활용과 세계화를 위한 NGO 역할과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아래 링크된 주소에서 실시간 인터넷 방영이 되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http://www.cics.center/ICH_TV/
O 주제: "무형유산 세계화 과제와 NGO 역할"
O 일시: 2017년 4월 11일(화) 09:30~11:30
O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O 프로그램
좌장 함한희 (전북대학교 교수, 무형유산학회장)
1. 기조발제
- 무형유산활동의 세계화 과제와 NGO의 중요성
: 임돈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2. 토론
- 무형유산 보전과 활용에 대한 정책방향
: 이길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장)
- 무형유산 국제화를 위한 법 제도 정비 과제
: 윤병진 (세계탈문화예술연맹 사무총장)
- 국가별 유네스코 등재 '세계 무형유산'지원 사례와 ODA 연계 방안
: 최동환 (세계무술연맹 사무총장)
- 유네스코 등자유산과 NGO의 역할
: 이광표 (동아일보 오피니언 팀장, 문화유산학 박사)
사회 : 이석제 (국제무형문화도시연합 사무국장)
O 공동주최 : 김광림 의원, 유성엽 의원
O 주관 :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회
O 후원 : 외교부, 문화재청
http://www.cics.center/ICH_TV/
김빛나라
http://www.cics.center/ICH_TV/
[국회 정책토론회]
제12차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정부간위원회 대한민국(12/4~12/8 제주도 계획) 개최를 앞두고 국회에서 정책토론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무형유산의 보전과 활용에 관한 정책방향 점검과 세계화 과제를 확인하고, 무형유산의 활용과 세계화를 위한 NGO 역할과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아래 링크된 주소에서 실시간 인터넷 방영을 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http://www.cics.center/ICH_TV/
O 주제: "무형유산 세계화 과제와 NGO 역할"
O 일시: 2017년 4월 11일(화) 09:30~11:30
O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O 프로그램
좌장 함한희 (전북대학교 교수, 무형유산학회장)
1. 기조발제
- 무형유산활동의 세계화 과제와 NGO의 중요성
: 임돈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2. 토론
- 무형유산 보전과 활용에 대한 정책방향
: 이길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장)
- 무형유산 국제화를 위한 법 제도 정비 과제
: 윤병진 (세계탈문화예술연맹 사무총장)
- 국가별 유네스코 등재 '세계 무형유산'지원 사례와 ODA 연계 방안
: 최동환 (세계무술연맹 사무총장)
- 유네스코 등자유산과 NGO의 역할
: 이광표 (동아일보 오피니언 팀장, 문화유산학 박사)
사회 : 이석제 (국제무형문화도시연합 사무국장)
O 공동주최 : 김광림 의원, 유성엽 의원
O 주관 :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회
O 후원 : 외교부, 문화재청
http://www.cics.center/ICH_TV/
김빛나라
국립무형유산원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방학 중 풍물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올해 2017년도는 국가무형문화재 농악(진주삼천포 농악. 강릉농악)과 탈춤(고성오광대. 봉산탈춤)을 개설하여 실시할 예정입니다. 대학생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접수기간은 리플렛 참고하시기 바라며 접수는 선착순으로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와 담당자 이메일을 통해 받을 예정입니다. 주변 대학생들에게 많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명현
축하합니다.
Yong-Goo Kim
'무형문화유산의 지속성'이 발간되었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무형유산이 어떻게 지속되는가에 대한 현장연구자들의 고민을 담고 있다. 변화하는 것고 변화하지 않는 것이 혼재하여 작동하는 현재의 무형유산 전승과정 속에서 '지속'의 의미를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 논의되는 도시, 공동체, 체계, 개인, 심리, 형태 등의 문제는 어떤 면에서 현재 무형유산 연구의 지평에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Yong-Goo Kim
제1차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 워크숍
이정송
오늘(2월8일)부터 내일(9일)까지 안동에서 제 1차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 워크숍이 있습니다. 세계탈문화예술연맹,세계무술연맹,무형문화연구원,국제무형유산도시연합,안동시 관계자분들과 함께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본 워크숍은 NGO 협의체를 통한 무형유산 보호와 활용 및 4월 국회에서 '무형유산 국제화 및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주제로 열릴 예정인 정책토론회를 준비하는 자리로 진행됩니다. 자세한 워크숍 프로그램은 첨부파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상원
2017 동해안별신굿 ㅡ 기장군 공수마을
한덕택
#국악방송 #FM국악당 #99.1MHz #박고은독주회
국악방송 FM국악당 : 금호영재콘서트 박고은독주회
박완규
국가와 무형유산....근본적인 물음이 있습니다.
국가와 무형유산의 관계는 무엇인가? 무형유산의 국가로부터 자유와 국가와의 결합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국가와 생활의 중간에 존재하는 시민의 무형유산에 대한 관점과 활동은 어떠해야 하는가?
'각성된 시민' 또는 그 중간의 다양한 부문을 제외한 국가와 전승자 이원적 구도에서 나오는 목표와 전략이 과연 타당성과 진취성을 가질 수 있을까?
Yong-Goo Kim
<<<제11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 참가 보고 세미나가 진행 중입니다>>>
제11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정부간회의가 2016년 11월 28부터 12월 2일까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렸습니다.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 어떤 무형유산 관련 이슈나 논쟁이 있었는지 회원들과 논의하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
1부. 정부간위원회 참가보고: 진행과 결정사항에 관한 개관 (함한희, CICS, 전북대학교 교수)
2부. 정부간위원회 참가보고: 등재항목 분석 (오세미나, 무형문화연구원)
3부. 정부간위원회 참가보고: 텍스트 데이터 분석 (이정송, 무형문화연구원)
4부. 제11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 영상 보고 (박순철, 무형문화연구원)
------------------------------------------------------
"제11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 참가 보고 세미나"
일 시: 2016년 12월 9일(금) 오후 2시~4시
장 소: 무형문화연구원 세미나실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3-3
(전북대 신정문 사거리 전북은행 맞은편 COAP B동 2층 세미나실)
문의처: 김빛나라 (연구간사/연락처 hoit12@naver.com 010-2297-1313)
------------------------------------------------------
CiCS(무형문화연구원)
김빛나라
지난 11월30일 제주해녀문화가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류무형유산중 가장 오랜 준비기간을 거친 등재가 아닐까합니다.
무형유산보호협약이 발효되던 10년전 부터 무형유산협약의 철학에 가장 부합하는 무형유산으로 논의 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제주해녀문화'를 통해 한국무형유산의 새로운 보호 모델이 발전해 나가길 기대해 봅니다.
Yong-Goo Kim
문화재지 제49권 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발간 '문화재지'에 무형유산 관련 두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무형유산의 중요한 철학적 기초가 되고 있는 '공동체'와 '지속가능개발'의 문제를다루고있습니다.
7. '장담그기'의 전승양상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양미경)
무형유산의 전승을 공동체를 중심에 놓고 접근하고 있습니다. 무형유산을 형태중심으로 보는시각을 탈피하는 최근 경향들을 대표하는연구라할 것입니다.
13. '지속가능개발과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김용구)
유엔 'SDGs' 원년을 맞이하여 지속가능개발목표 접근을 위한 무형유산 정책의 과제를 정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1960년대 이후 개발의 성취를 확장심화한다는 관점에서 지속가능개발을 바라보고있습니다.
Yong-Goo Kim
제 11차 정부간 위원회 2016년 12월 1일
아디스아바바 통신
매사냥 확장 등재 (Falconry, 매사냥)되다.
매사냥은 2010년 11개국이 참여하여 공동등재 되었고, 2012년 2개국이 추가된 13개국이 참여하여 확대 공동등재 되었다. 2010년 공동등재에는, 한국, 아랍에미리트(UAE), 벨기에, 체코, 프랑스, 모로코, 카타르,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몽골 등 11개국이 참여했고, 2012년에는 기존 11개국에 헝가리와 오스트리아가 추가로 참여하였다. 2016년 독일,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포르투갈이 추가로 참여하였다. 한국, 아랍 에미리트,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프랑스,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몽골, 모로코, 파키스탄, 포르투갈, 카타르, 사우디 아라비아, 스페인, 시리아 등 총 18개국으로 확장 등재되었다. 매사냥 공동등재 신청서는 지속적으로 등재국가를 확대해 나간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에서 모범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줄다리기도 확대공동등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매사냥에 대한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매사냥은 매를 훈련하여 야생 상태에 있는 먹이를 잡는 방식으로 4000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아시아에서 발원하여 무역과 문화교류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에 매사냥은 식량 확보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자연과의 융화를 추구하는 야외활동을 자리매김 했으며 60개 이상 국가에서 전승되고 있다.
매는 한로(寒露) 동지(冬至) 사이에 잡아서 길들인 후 겨울 동안 사냥에 나간다. 겨울이 되면 야산에 매 그물을 쳐서 매를 잡는데, 처음 잡은 매는 야성이 강하여 매섭게 날뛰기 때문에 숙달된 봉받이가 길들이기를 한다. 매를 길들이기 위해서 방안에 가두어 키우는데, 이를 ‘매방’이라고 한다. 매를 길들이는 매 주인은 매방에서 매와 함께 지내며 매와 친근해지도록 한다. 매사냥은 개인이 아니라 팀을 이루어서 하며, 꿩을 몰아주는 몰이꾼(털이꾼), 매를 다루는 봉받이, 매가 날아가는 방향을 봐주는 배꾼으로 구성되고 있다. ‘시치미 떼다’라는 속담도 매사냥에서 나왔는데, 매 주인이 자신의 매임을 표시하기 위해 붙이는 이름표(소뿔을 갈아 길이 5㎝ 정도의 조각에 이름을 새김)를 ‘시치미’라고 한다.
(출처 : 인류무형유산 홈페이지
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world_heritage/intangible_treasure_11.jsp&mn=NS_04_04_03)
Mina Oh
[제다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은 차(茶)를 만드는 전통기술인 ‘제다‘(製茶)를 국가무형문화재 제130호로 지정하였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제다’(製茶)가 우리의 소중한 문화자산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기념하는 한편, 향후 ‘제다’(製茶)의 효과적인 보존․전승과 한국 차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논의를 위해 마련한 자리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일시: 2016년 12월 16일 (금)
장소: 국립무형유산원 내 어울마루 국제회의실
조나영
[제11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 참가 보고 세미나]
제 11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정부간회의가 2016년 11월 28부터 12월 2일까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우리 학회 회원들이 많이 참여를 하였고, 참가했던 회원들께서 참가 보고를 해 주시기로 하였습니다.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 어떤 무형유산 관련 이슈나 논쟁이 있었는지 우리 회원들과 논의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부디 많은 참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제11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 참가 보고 세미나"
발표자: 함한희(전북대 교수) 외 참가자 여러분
일 시: 2016년 12월 9일(금) 오후 2시~4시
장 소: 무형문화연구원 세미나실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3-3
(전북대 신정문 사거리 전북은행 맞은편 COAP B동 2층 세미나실)
문의처: 김빛나라 (연구간사/연락처 hoit12@naver.com 010-2297-1313)
------------------------------------------------------
회장 임돈희
무형유산학회
김빛나라
아태무형유산센터에서 11월3일~5일, 무형유산, 지속가능개발, NGO를 주제로 국제회의를 개최한다고 합니다.
'지속가능개발'이라는 거대 주제에 무형유산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자리로 보입니다.
비정부의 고민들이 정부를 넘어서 얼마나 다르고 얼마나 능가하고 얼마나 근본적인지.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NGO의 좋은 발표들을 기대합니다.
Yong-Goo Kim
많은 격려와 응원 부탁드립니다.
주위에 널리 알려주시는것도 잊지 마시고요..
박완규
|
1
|
2
|
3
|
4
|
5
|